본문 바로가기
부동산

전세자금대출 2025 한도와 조건|은행별 비교표로 정리

by 로라100 2025. 7. 27.

 

 

2025년 기준 전세자금대출 조건과 한도, 그리고 은행별 금리 비교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. 특히 무주택자, 신혼부부, 사회초년생이라면 꼭 확인하셔야 할 내용입니다.

 

✅ 전세자금대출이란?

전세 보증금을 마련하기 어려운 세입자를 위해 정부 또는 은행이 보증을 제공해 대출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. 일반적으로 정부지원형(버팀목, 청년전세자금대출)과 은행 자체 상품으로 나뉩니다.

 

💸 2025년 전세자금대출 한도 및 조건 정리

구분 최대 대출한도 금리 조건
버팀목 대출 수도권 1.2억 / 비수도권 8천 연 1.8%~2.4%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무주택자
청년 전세대출 최대 7천만 원 연 1.5%~2.3% 만 34세 이하, 소득 5천만 원 이하
신혼부부 대출 수도권 2억 / 비수도권 1.6억 연 1.2%~2.0% 혼인 7년 이내, 합산소득 7천만 원 이하
일반은행 상품 최대 80% 담보대출 연 3.5%~5.5% 신용등급 및 소득 조건 적용

 

📌 주의: 대출 한도는 보증금의 70~80%까지 가능하며, 개인 신용등급 및 연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.


🏦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비교 (2025년 7월 기준)

은행상품명기본금리(연)특이사항
국민은행 KB전세자금대출 3.8%~4.9% 모바일 신청 가능, 대출속도 빠름
신한은행 쏠편한 전세대출 3.6%~4.7% 신용평가 우대금리 적용
우리은행 우리전세론 3.7%~4.8% 무보증 전세 가능 상품 제공
하나은행 하나전세론 3.5%~5.0% 공동명의 대출 가능
농협은행 NH전세자금대출 3.4%~4.9% 전세보증보험 필수
 

🧾 TIP: 신혼부부나 청년층이라면 일반은행보다 정부지원 상품이 금리와 한도에서 유리합니다.


📍 전세자금대출 신청 방법

  1. 자격 확인 → 연소득, 세대구성 확인
  2. 대출 상품 선택 → 정부지원 vs 일반은행
  3. 필요 서류 준비 → 주민등록등본, 계약서, 소득증빙 등
  4. 은행 또는 앱에서 신청 → 온라인 신청 가능
  5. 보증서 발급 후 실행 → 한국주택금융공사 등

💡 이런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

  • 신혼부부, 청년 1인 가구, 이직 직후 임대주택 계약 예정자
  • 무주택자이면서 월세 부담이 큰 분
  • 서울·경기지역 전세 보증금 2억 이상 필요하신 분

 

🔚 마무리 정리

2025년에도 전세자금대출은 주거 안정의 핵심 수단입니다. 조건을 잘 비교하고 정부지원 대출 우선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은행별 금리와 한도를 꼼꼼히 확인해 가장 유리한 상품을 선택하세요.